게임 정보 param 데이터 타입 문의

고객님의 문의에 답변하는 직원은 고객 여러분의 가족 중 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고객의 언어폭력(비하, 조롱, 욕설, 협박, 성희롱 등)으로부터 직원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 법에 따라 수사기관에 필요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으며, 형법에 의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이용 정책에 위배되는 게시물을 작성할 경우, 별도 안내 없이 게시물 삭제 또는 커뮤니티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문의 응대 :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문의를 남기실 경우 다음 항목을 작성해 주세요.
정보가 부족하거나 응대시간 외 문의하는 경우 확인 및 답변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뒤끝 SDK 버전 : 5.16.1
  • 프로젝트명 : PirateStory
  • 스테이터스 코드 :
  • 에러 코드 :
  • 에러 메시지 :

Backend.GameData.Insert 와 Backend.GameData.Update 로 게임 정보를 저장할 때,
param 데이터 타입에 string 으로 “1” 을 넘길 경우 뒤끝 콘솔 게임 정보 데이터에 “1” 이 아니라 “True” 로 저장이 되는거 같습니다.

param.Add(“passpurchasedsteps”, GetPassPurchasedSteps());
위와 같은 코드로 적용 했고, GetPassPurchasedSteps 데이터 타입은 List string 이고, 값은 0 혹은 1의 값이 들어가 있습니다.
실제 뒤끝 콘솔에도 “True” 가 아닌 “1” 로 저장되도록 하고 싶은데, 혹시 코드를 잘못 적용한걸까요?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보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 해당 데이터 삽입이 이루어진 유저 정보를 확인 요청드립니다.

PirateStory 프로젝트
gamer_id :
닉네임 : 테스트
게임 정보 : Etc
컬럼명 : passpurchasedsteps
입니다.

좋아요 1

확인 시
서버로의 요청값 자체가 다음과 같은 값으로 요청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됩니다.

["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0","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0","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0","0","0","0","0","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True","0","0","0","0"]

네 제가 클라이언트에서 전달한 값은 “1” 값인데 뒤끝 콘솔에 “True” 로 저장 되서 문의 드린겁니다.

내부 테스트를 통해 insert, update 모두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으나 이상 없이 “1” 값으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요청해주신 값의 경우도 0은 정상적으로 반영되어있습니다.)

적용된 코드를 확인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사용중이신 코드 전문을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ool 형도 아니고 string 형으로 “True” 로 값이 저장되고 있는데 혹시 어떤 부분을 살펴봐야 할까요?
제가 직접 string 값에 “True” 로 셋팅 한 적은 없습니다.

private List(string) m_PassPurchasedSteps; // 이 변수에

// 아래 방식으로 값을 셋팅하고 있습니다
string purchasedStr = playerPass.PurchasedPayPassSet.ToString();
m_PassPurchasedSteps.Add(purchasedStr);

playerPass.PurchasedPayPassSet.ToString() 값은 int 형을 string 형으로 변환한 것으로 0 혹은 1 값만 들어갑니다.
그리고 서버에는 m_PassPurchasedSteps 변수를 매개변수로 전달 했습니다.

추가로 정보 전달 드립니다.
확인 해본 결과 0, 1 로 값이 셋팅 됐던 값은 “0” 혹은 “1” 로 저장 되는거 같고 특정 값일 경우 “True” 로 셋팅이 되는거 같은데, 혹시 string.empty 같이 비어있는 경우 해당 값으로 되나요?

담당 부서에서 추가 테스트 진행 시 정상적으로 "1"의 값이 들어가는것으로 확인하였으며
string.empty일 경우에 string형의 빈값으로 테이블에 저장되는것도 확인하였습니다.

혹 playerPass.PurchasedPayPassSet 값을 포함하는 클래스 또는 관련된 다른 커스텀 클래스에서 ToString()을 재정의 하여 사용하고 계신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만약 재정의 된 ToString()을 사용하고 계신다면은 특정값(예 :1)을 "True"로 전달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