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금제 관련 문의드립니다.

고객님의 문의에 답변하는 직원은 고객 여러분의 가족 중 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고객의 언어폭력(비하, 조롱, 욕설, 협박, 성희롱 등)으로부터 직원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 법에 따라 수사기관에 필요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으며, 형법에 의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이용 정책에 위배되는 게시물을 작성할 경우, 별도 안내 없이 게시물 삭제 또는 커뮤니티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문의 응대 :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문의를 남기실 경우 다음 항목을 작성해 주세요.
정보가 부족하거나 응대시간 외 문의하는 경우 확인 및 답변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테스트 목적으로 베이스와 DB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요금이 청구가 된 것은 아니지만 1300원가량 집계가 됐더라구요.
뒤끝상세요금제에서 모의로 가격을 예상할 수 있는 페이지에서는 호출 수가 꽤 돼야 가격이 잡히더라구요.

뒤끝 요금제 페이지를 어떻게 참고하면 해석하면 좋을지가 궁금합니다.
실제로 1300원만큼 호출한 것 같지는 않거든요.
제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 1300원이 나오려면 적게는 몇만번의 호출이 있어야 하는데,…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뒤끝의 요금 정보는 콘솔의 결제 관리 메뉴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솔 - 프로필 - 결제관리 - 현재요금]
위 경로에서 요금을 확인하시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펼쳐 각 요금 정보를 선택해주시면
각 호출량과 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단의 ‘전체/선택’ 중 선택을 선택하여 주시면
각 일자별로 보다 상세한 기능별 호출량 및 요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 그 기능을 활용해서 1300원이라는 요금을 확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1300원이란 요금이 실제로 나오려면, DB와 베이스에서 꽤 많은 접근을 해야 요금이 책정되는데, 실제로 제가 그렇게 많이 호출을 하지는 않았거든요.

뒤끝에서 제공하는 호출당 요금을 계산해볼 수 있는 페이지랑 실제 요금이 나오는 구조가 조금 다른가요?

*물론 실제로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호출 요금은 호출 수에 따라 정량적인 비용이 계산되며,
DB 요금의 경우 서버를 통해 처리되는 데이터 크기에 비례하여 요금이 발생하기에,
호출 수가 아닌 데이터 처리량을 기준으로만 정확한 요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월 전체 이력 확인 시 1일부터 점진적으로 사용량 증가가 확인되며,
ggsfsdfds 닉네임의 계정을 통해 최근 며칠간 하루 1,000회 이상의 특히 많은 호출이 발생하였음이 확인됩니다.

현재 확인하신 요금은 각 호출과 호출로 인해 서버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발생한 DB 요금이 정확하게 계산되어 제공된 부분이니 이점 참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ggsfsdfds 닉네임의 계정을 통해 최근 며칠간 하루 1,000회 이상의 특히 많은 호출이 발생"에서
며칠간이라는 게 언제부터 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며칠 후에는 호출 횟수가 어느정도인지 알고싶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요.

해당 유저의 최근 5일간의 호출량 정보를 DM으로 전달드렸습니다.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아요 1

감사합니다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