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 쓰기 이용량 질문입니다.

고객님의 문의에 답변하는 직원은 고객 여러분의 가족 중 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고객의 언어폭력(비하, 조롱, 욕설, 협박, 성희롱 등)으로부터 직원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 법에 따라 수사기관에 필요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으며, 형법에 의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이용 정책에 위배되는 게시물을 작성할 경우, 별도 안내 없이 게시물 삭제 또는 커뮤니티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문의 응대 :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문의를 남기실 경우 다음 항목을 작성해 주세요.
정보가 부족하거나 응대시간 외 문의하는 경우 확인 및 답변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뒤끝 SDK 버전 : 5.16.1
  • 프로젝트명 : ProjectA
  • 스테이터스 코드 :
  • 에러 코드 :
  • 에러 메시지 :

트랜잭션 테스트 중에 쓰기 이용량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남깁니다.

스키마를 정의하지 않은 테이블에 (list:[{“ticket”: 7777,“name”: null,“score”: 0}])
이 정도의, 50자도 안 되는 데이터만 넣는 작업을 AddInsert로 8번 추가하고 트랜잭션 쓰기 요청을 하였습니다.
근데 작업 성공 이후 GetWriteCapacity() 로 쓰기량을 확인해보니 32가 나왔습니다. 읽기는 0이고요.

DB이용량 가이드 문서에 트랜잭션 쓰기 작업의 데이터 크기가 1KB이하의 경우 처리량이 2가 나온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한 row에 200바이트 정도 추가된다고 알고 있고요.
그럼 내 데이터 + 기본적으로 추가되는 용량으로 하나의 row에 넉넉잡아 300바이트이며
8개의 row니까 대략 2.4KB 정도 됩니다.

그럼 6처리량 + 유저 인증까지 해서 8정도 나올 거 같은데 왜 이렇게 쓰기 처리량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트랜잭션의 DB 처리량은 요청의 총 합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닌, 각 개별 요청에 따라 처리됩니다.

예를들어 1회의 트랜잭션의 요청으로 8개 데이터를 처리한다면,
호출요금은 1회 발생, DB 처리량은 8개 데이터 처리에 따라 각각 발생하여 합산됩니다.

이에 8개의 데이터를 insert 처리하셨을 때 32 처리량이 발생하신 것이며,
동일 데이터를 트랜잭션으로 1개만 insert하여 처리하면 4 처리량,
게임정보삽입 혹은 유저데이터삽입 함수를 통해 처리하면 2 처리량이 발생합니다.

요금 자체가 비싸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정확히 어떻게 측정된 것인지는 알고 싶습니다.
뒤끝 베이스 가격 문서엔 1KB이하는 1처리량이라 나와 있고
DB 이용량 가이드에 트랜잭션 쓰기는 2KB 이하에 2처리량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8개모두 1kb가 안 되니 1x8=8 혹은 2x8=16, 설사 둘을 합친다해도 3x8=24입니다.
그럼 나머지는 전부 트랜잭션 API 호출 요금이라는 건가요?

홈페이지 내 가격정책 페이지에서는 기본 읽기/쓰기 처리량의 발생에 대해 안내하고 있으며,
상단의 안내를 통해 트랜잭션의 처리량은 2처리량으로 책정됨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DB 이용량 가이드 문서를 통해
일반 읽기/쓰기, 트랜잭션 읽기/쓰기의 처리량 발생에 대해 안내하고 있으며,
(트랜잭션 쓰기는 1kb당 2처리량, 유저인증처리를 제외한 순수 요청 데이터에 대한 처리량입니다.)

각 요청에 대해서 유저 인증 처리로인해 0.5~2처리량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음이 안내되고 있습니다.

가격정책 페이지 내에서 트랜잭션 처리량이 분리되어 안내되고 있는 점에 대해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담당부서에 피드백 해 개선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